티스토리 뷰

우리의 혈액 속에는 적혈구와 백혈구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들이 우리 몸을 돌며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적혈구는 우리 몸에 산소가 필요한 곳에 산소를 공급합니다. 적혈구는 무조건 줍니다. 자신이 가진 산소 모두를 필요한 곳에 아낌없이 주고 스러집니다. 나중을 위해, 혹은 더욱 필요한 곳에 주기 위해 산소를 조금 남겨두는 일조차 없습니다.

 

 

 

백혈구는 우리 몸에 침입한 세균이나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백혈구는 무조건 끌어안습니다. 몸에 들어온 이물질을 모두 꽉 끌어안음으로써 이를 극복합니다. 다른 그 어떤 기교나 전술도 없습니다. 우리 몸은 원래 그렇게 생겨먹었습니다. 그런 피들이 우리 몸을 돌고 돌며 우리를 살아가게 합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다르게 살아갑니다. 주기 보다는 빼앗고, 싸 안기보다는 배척합니다. 몸이 생겨먹은 대로 살지 않으니 이 사회가 자꾸만 탈이 나나 봅니다. 하여튼 백혈구는 우리의 몸에 익숙하지 않은 물질이 몸에 들어왔을 때 선택적으로 그 이물질이나 균을 잡아먹습니다 이렇게 병원균 잡아먹는 백혈구의 생존 기간은 약 10일이며, 계속해서 몸속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남자의 경우 1mm3 당 적혈구는 약 500만 개, 백혈구는 약 7만 개, 혈소판은 약 30만 ~ 60만 개 정도가 있다고 합니다

 

고도가 높은 곳에 사는 사람들이 고도가 낮은 곳의 사람들보다 공기 중에 산소가 더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몸속에 적혈구를 더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 사람들도 고도가 높은 곳에 갔을 때 처음에는 숨이 차고 힘이 들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몸 속에서 적혈구를 더 많이 만들어내기 때문에 익숙해질 수 있게 됩니다. 또 적혈구와 백혈구는 혈소판에 비해 더 오래 생존하며, 더 더디게 생성됩니다.

 

 

 

이중 백혈구에 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백혈구는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림프구로 나눕니다. 호중구는 전백혈구의 약 60%, 림프구는 30%, 나머지는 극히 적은 숫자입니다. 백혈구는 헛발로(아메바 모양임) 이동하여 혈관 밖으로 유주합니다. 백혈구 가운데 호중구가 가장 활발히 운동하고 단구나 림프구는 거의 운동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호중구와 단구는 강하게 세균 바이러스 진균이나 이물을 세포 내로 끌어들여서 소화시킵니다. 이것을 탐식작용이라고 말합니다. 호염기구의 과립은 헤파린으로, 혈액이 혈관 내에서 응고되는 것을 막고 림프구는 항체를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모 든 것은 골수에서 만들어집니다.

 

적혈구백혈구
적혈구 백혈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