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역류성 식도염 증상은 한마디로 말해 음식물이 내려가지 않고 다시 위로 올라오는 증상을 이야기합니다. 또한, 이러한 증상으로 인하여 위장에 있는 위산이 거꾸로 올라와 식도 점막을 손상시키게 되며 이 같은 현상으로 인해 가슴의 뜨거운 느낌과 가슴 쓰림 심하면 구역질까지 발생하게 됩니다. 주로 목이물감과 마른 잔기침, 목소리변화, 목의 통증, 삼키기 곤란, 속 쓰림 , 입냄새, 쉰 목소리, 가슴통증, 명치 답답, 소화불량, 가슴 쓰림, 신물이 올라옵니다. 오늘은 이 증상을 자가치료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은 발생부위 위와 식도 경계 부위에는 하부 식도 괄약근이 있는데, 이는 평소 음식물을 삼킬 때에만 열리고 그 외에는 닫혀 있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하부 식도 괄약근에 문제가 생기면 기능이 저하되어 위액이 자주 역류하게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
역류성식도염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궤양이나 식도가 좁아지는 식도 협착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부분 역류성식도염 치료에 사용되는 것은 위산 및 위액을 억제하는 제산제입니다. 이는 위산의 과다를 막고 위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약물을 사용해도 재발할 수 있어 원인을 찾아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역류성식도염을 단순히 위산 과다의 원인으로만 생각해서는 안된다. 위장과 식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식하고, 식사패턴이 불규칙한 경우에는 공복 상태에서도 위산분비가 되거나 적게 먹더라도 위산분비량이 늘어나기도 하므로 우선은 야식과 과식을 중단하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그리고 식후 바로 눕는 자세는 피하고,야식을 오랜 기간 습관화했다면 해당 시간에 음식을 먹지 않더라도 공복에도 위산분비가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합니다. 문제는 야식습관이 없고, 과식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역류성식도염이 진단된다는 것입니다.
위식도 역류질환
위식도 역류질환에는 위산과다 유형뿐만 아니라 오히려 위산의 분비량이 적어져도 위장의 연동운동이 더뎌서 생겨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음식을 섭취했는데도 위산 분비량이 적고 위장이 무기력하다면 음식은 십이지장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오래 머무르며 독소를 생성합니다.
바로 이 경우는 독소가 역류하는 담적형 역류성식도염이 발생합니다. 담적형 역류성식도염의 경우에는 특징이 뚜렷합니다. 공복에는 속이 편하다가 음식을 먹으면 속이 더부룩하고 답답합니다.
역류성식도염 약인 위산분비억제제를 복용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약을 먹으면 속 쓰림이 멎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답답하고 체한 기분이 드는 것입니다.
그리고, 트림하거나 음식이 역류할 때 신맛이 나는 위산과다 유형과 달리, 위장의 독소가 올라오면서 쓴맛이 느껴집니다.
자가진단 담적형 역류성식도염
자가진단 담적형 역류성식도염 자가진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공복에는 속이 편하거나, 식후 속이 더부룩하고 갑갑함, 역류성식도염 약을 먹으면 불편함, 트림 시 쓴 물이 올라온다 등이 있습니다.
소화액의 분비나 연동운동은 부교감신경의 지배 아래에 있습니다. 만약 부교감신경의 자극이 필요 이상으로 강하거나 오래 자극될 경우에는 위산과다형 위식도 역류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부교감신경이 자극되지 못하고 저조한 경우에는 담적형 위식도 역류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큽니다. 위장은 기능문제가 발생하여 음식물이 쌓이게 되면 위장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며 하부식도괄약근에 영향을 주어 느슨하게 만듭니다.
그로 인해 하부식도괄약근이 제 기능을 못하고 위산이나 펩신 등 위액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는 굳어진 위와 식도의 근육조직을 풀어내는 데 목표를 둬야 합니다. 위장 근육을 강화하고 소화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입니다.
위장의 움직이는 힘이나 자율신경(부교감=미주신경, 교감신경)의 기능이 양호한지, 위나 장의 연동운동(수축 팽창)이 정상적으로 잘 이뤄지는지 등의 진단 필요함) 쉽게 말하면 평상시 음식을 섭취했는데도 소화력이 떨어지는 분들이 잘 발생하며 여기다가 자극적인 음식이나 소화 안 되는 음식을 계속 먹었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장에 음식이 오랫동안 머물러있음)
결론적으로 역류성 식도염이 위산이 올라와 식도를 자극하고 염증이 만들어지게 하는 것이지만, 위식도 역류의 원인 인 위산 탓보다 위장의 운동성 저하 탓인 경우도 있습니다.
장은 1분에 2~3회 수축과 이완을 하면서 먹은 음식물을 위산과 함께 잘 섞고, 소장으로 내려 보내고,(3시간)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내부에 음식물, 과도한 가스로 인한 압력 상승이 발생하고 강한 압력이 위산 등 내용물을 역류하게 만듭니다.
역류성 식도염 위산저하, 위산과다 자가 테스트
역류성 식도염 위산 저하, 위산과다 자가 테스트 해보기 자가 테스트 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식사를 하고 난뒤 속이 쓰린지 먹고 나서 조금 지난 후 속이 쓰린지 또한, 밥을 먹고 난 후 언제 더부룩 한지에 대해서 집중해야 합니다.
만약 밥을 먹고 난 후 속이 쓰리시다면 위산 과다일 확률이 많으며, 밥을 먹고 난 후 2시간 뒤에 속이 쓰리고 더부룩하다면 위산 저하일 확률이 많습니다.
이렇게 위산과다 인지 위산저하 인지 먼저 체크하는 이유는 병원에 가면 위산 저하라고 판단을 하기 힘들어 약 처방을 위산 과다에 맞춰 제산제를 처방해 주기 때문이랍니다.
자가 치료법 10가지
1. 밥을 소화 잘되도록 최소 20분 이상 먹기 (젤 중요함)
2. 양배추 많이 먹기
3. 식후 걷기 등 유산소 운동하기
4. 탄산, 차가운 음료 안 먹기
5. 커피, 술, 담배 끊기 (디카페인도 포함해 먹지 않아야 함)
6. 밀가루, 튀긴 음식, 매운 음식, 음류 섭취 자제하기
7. 저녁 6시 이후 아무것도 안 먹기
8. 하부 식도 괄약근 이완 시키는 음식 먹지 않기 고지방식이, 초콜릿, 오렌지주스, 페퍼민트, 생 토마토, 짠 음식, 매운 음식 생 야채, 채소종류(익혀먹을 것)
9. 이것도 중요한데 아침 공복에 미지근한 물 꼭 먹기 밥 먹기 30분 전에 먹을 것(공복 시에도 위산은 나오게 되는데 물로 미리 위식도를 씻어내는 효과임. 3끼 똑같이 적용해야 함. 단 식사 시에는 물이나 국물 먹지 않는다.
10. 먹고 바로 눕지 않기